지구탐험 지오티비
전 세계 바다를 누비는 미 해군함대 본문
안녕하세요 지오티비입니다.
전 세계 바다를 장악하고 있는 미국 해군!
미 해군은 전 세계 해군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데요.
2023년 기준으로 346,300명의 현역과 54,700명의 비상근 예비역,
290척의 전투함과 2,623여 대의 항공기,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군함대의 위엄
미 해군은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지중해 등
전 세계 바다에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는데요.
이로서 상황 발생시에 외국의 연안에
미국의 군사력을 즉시 투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 지역 위기시에 신속하게 개입해서
미국의 군사적 외교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이 미 해군의 역할입니다.
물론 미국의 이런 세계 경찰 역할이 예전같지 않고
또 중국이 급성장 하면서 여러모로 견제를 받고 있는 상황이긴 한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전력은 아직 좀 무시무시합니다.
아직도 혼자서 세계 항공모함 대수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으니까요.
또 전 세계가 보유한 이지스함보다 더 많은 이지스함을
미 해군이 보유하고 있다고 하고요.
항공모함 자체도 무시무시하지만
항모는 혼자 다니는게 아니라 항모전단으로 움직이잖아요.
보통 초대형 원자력 항모전단의 경우, 니미츠급 항공모함 1척에
이지스 순양함과 구축함, 원자력 잠수함, 보급함 등
10척 이상을 운용하고 있거든요.
게다가 이 항공모함에는 전투기들이 실려있잖아요.
현재 지구상에 미 해군 항모전단 소속 비행대들을
이길 만한 능력을 가진 항공전력은 미국 공군이 유일하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세계 공군력 1위는 미공군, 2위는 미 해군이라는 얘기죠.
이 뿐만이 아니라 준 항공모함 수준인 강습상륙함들까지 생각하면
미 해군의 항공력은 정말 무시무시한데요.
보유한 이지스함이 80척이 넘고요
잠수함도 66척으로 러시아가 보유한 62척보다 많다고 하죠.
미해군편제
그러면 전 세계에 흩어져있는 미 해군함대들을 한번 둘러보겠습니다.
미 해군전력은 1함대부터 7함대로 나뉘는데요.
2함대는 미 동부 연안 해역
3함대는 태평양 동부 해역
4함대는 남아메리카 인근 해역
5함대는 동아프리카, 페르시아만, 홍해, 아라비아해, 인도양 일부 해역
6함대는 유럽과 아프리카 해역
7함대는 서태평양과 인도양 해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편제를 보면 제1함대가 없거든요.
1함대는 1970년대에 해체되어서요, 3함대에 임무를 넘겨줬다고 합니다.
그리고 미국 해안경비대가 1함대의 역할을 어느정도 대신한다고 해요.
미국 해안경비대의 전력만 해도 해군력 순위로 세계 7위라고 합니다.
미해군2함대 (United States Second Fleet)
미 해군 2함대는 대서양의 서북부를 담당하는 함대입니다.
본부는 버지니아주 노퍽 해군기지에 있는데요.
노퍽해군기지는 세계 최대의 해군기지로서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에서 남쪽으로 230 km 떨어져 있다.
노퍽에는 약 75척의 군함이 정박해 있는데요.
미 동부 해안지역을 주 작전범위로 두고 있습니다.
배수량 10만톤이 넘는 항공모함이 6척이나 정박해 있는 곳입니다.
노퍽시는 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해군과 공군기지가 들어서면서
군사도시로 성장한 곳입니다.
세계 최대의 군악 축제인 버지니아 국제군악제가
이 노퍽시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영국의 에딘버러 축제와 함께 세계 양대 군악축제로 평가받고 있다네요.
여기 이런 니미츠급 항공모함에는
함재기가 90대 가까이 들어간다고 해요.
또 항공모함은 혼자 다니는게 아니라
구축함, 순양함 등과 함께 하나의 전단을 구성해 이동하기 때문에
보통 한 나라의 해군력과 맞먹는다고 하죠.
그래서 이런 핵항모를‘떠다니는 군사기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미해군3함대 (United States Third Fleet)
미해군 3함대는 동경 160도선 동쪽의 동태평양 일대를 담당하는 함대입니다.
사령부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포인트로마 해군기지에 있고요.
3함대는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국 태평양함대의 주력 함대였는데요.
4개의 항모전단과 오하이오급 원자력 잠수함 10척,
이지스 순양함 40여척 등이 소속되어 있는데요.
미국의 함대들 중 가장 강력한 함대로 평가받고 있다고 하네요.
그래서 중동지역을 담당하는 5함대나 서태평양을 담당하는 7함대에
함정을 파견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하와이의 진주만에 있는 해군기지도 3함대 소속이죠.
하와이 진주만 히캄기지 일대에서는
림팩이라고 해서 환태평양(RIMPAC·RIM of the PACific)훈련이 진행되는데요.
우리 해군도 매년 이 훈련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가운데 포드섬을 중심으로 항구들이 둘러싸고 있는 모습인데요.
이 포드섬에는 USS유타라고 진주만 공습 때 침몰한 배를
그대로 보존해서 전시하고 있는 모습도 볼 수가 있습니다.
항공모함은 아닌데 항공모함 급의 배들도 정박해 있는게 보이네요
이거는 헬기인가요, 아니면 상륙강습함 같은건가요.
아 함재기용 엘리베이터 같은 시설도 보이네요.
미해군4함대 (United States Fourth Fleet)
다음은 미 해군 4함대입니다.
사령부는 플로리다주 잭슨빌의 메이포트 해군 기지에 있네요.
4함대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주변의
태평양과 대서양 해역을 담당하고 있는데요.
이 지역을 항행하는 상선들을 보호하거나,
마약단속 임무에도 투입될 때가 있다고 합니다.
4함대에는 고정으로 배치된 선박은 없고요
2함대와 3함대의 배들이 정기적으로 4함대에 배치가 되어서
그 배들을 활용해 작전을 수행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메이포트 해군기지의 부두 규모가
다른 곳 보다는 좀 작은 것 같아요.
미해군5함대 (United States Fifth Fleet)
미해군 5함대는 동아프리카와 페르시아만, 홍해,
아라비아해와 인도양 일부 해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바레인 해군지원시설에 사령부를 두고 있는데요.
여기도 4함대와 마찬가지로 전속으로 배치된 선박은 없고요
태평양 함대, 대서양 함대에서 파견되는 인원과 장비로
작전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물론 과거에는 여기에 배치된 항모도 있었고
원자력 잠수함을 비롯한 여러 군함들이 배치되어 있었는데요.
중동에서 걸프전과 이라크전쟁을 하고 그럴 때죠.
지금 여기에 고정으로 배치된 선박이 없다는 것은
미국의 해군 전략 및 외교의 방향이 변화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미국에게 중동지역의 중요도가 그만큼 떨어졌다는거겠죠.
또 5함대가 관할하는 구역에는
페르시아만과 아라비아해를 잇는 호르무즈 해협이 있는데요.
전 세계 원유수송량의 20%가 통과하는 해상 요충지입니다.
그리고 수에즈운하와 아덴만을 연결하는 홍해와 아라비아해,
인도양 일부지역도 담당을 하고 있죠.
5함대는 미 해군 함대 중에서
무인시스템 도입을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곳이라고 합니다.
소형 무인선박 안다로 같은 것들을 운영중이라고 하는데요.
관할지역이 아무래도 무더운 지역이다 보니까
무인운영의 수요가 더 많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미해군6함대 (United States Sixth Fleet)
제6함대는 미국의 유럽-아프리카해군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지중해 지역과 대서양의 동부 절반을 담당하는 부대입니다.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 부대로서의 임무도 가지고 있다고 해요.
해리 해리스 전 주한 미국대사도 6함대 사령관으로 재직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본부는 나폴리에 해군지원기지를 두고 있고요,
크로아티아 빅터레낙(Viktor Lenac)에 조선소를 두고
배들을 정비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정비를 하러 미국까지 왔다갔다 하기에는 너무 머니까요.
제6함대와 주로 훈련하는 국가는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이 있어요.
나토 국가들과 함께 훈련을 하는거죠.
그런데 다들 아시다시피 이제
트럼프 체제 이후에 관계가 많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찾아보면 해군 부두가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에도 있고
이탈리아 가에타에도 있다고 하는데 좀처럼 찾을 수가 없네요.
6함대의 기함인 마운트 휘트니 같은 경우는
이탈리아 가에타를 모항으로 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럴만한 마땅한 시설이 안 보이거든요.
이 기함이 이끄는 함대의 배가 40척이나 된다는데요.
정보가 좀 잘못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여기 두브로브니크도 그렇고 지중해 해안에는
그렇게 큰 부두가 잘 없는 것 같아요.
지형적으로 큰 부두를 짓기가 어려운가보죠?
챗 GPT에게 물어보니까
일부 지역은 급격한 경사가 있어서 부두 건설에 적합하지 않다고 하고요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규제가 많기 때문이라고도 하네요.
미해군7함대 (United States Sixth Fleet)
마지막으로 7함대 입니다!
7함대는 서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함대인데요.
일본 요코스카 해군기지에 본부를 두고 있습니다.
여기 도쿄만의 입구에 요코스카 해군기지가 있죠.
7함대는 약 50~60 척의 함선과 350여대의 항공기,
6만여명의 해군과 해병대 요원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현재 전진 배치된 미국의 함대 중에서는 규모가 가장 크다고 합니다.
요코스카항에는 니미츠급 항공모을 포함해서
이지스 전투함 계열이 주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네요.
또 7함대에 배치된 군함 중 18척이 일본과 괌에 배치되어 있는데요.
이 18척이 아시아 미군의 핵심 전력이라고 합니다.
사진으로 봐도 요코스카 기지의 규모가 상당해 보이죠.
배를 수리하는 드라이도크도 보이고요.
이 7함대는 지금까지 본 함대들 중 가장 바쁜 곳이 아닐까 싶어요.
한반도 위기시에도 미국항공모함이 오잖아요.
그리고 대만과 중국사이 양안관계가 안좋아도 거기로 가야하고요.
남중국해의 스프래들리 군도에서 뭔가 트러블이 생겨도 가야하고.
아무튼 가장 바쁘고 역할이 많은 함대가 이 7함대입니다.
그래서 그런가 기지도 여러군데 있는데요.
요코스카 외에도 우리나라 부산과 진해, 싱가포르,
그리고 인도양의 디에고 가르시아에도 기지가 있고요.
또 일본에는 사세보에도 기지가 있습니다.
사세보기지에는 샌안토니오급과 상륙함대가 있다고 합니다.
보시면 배들이 많이 있는데요
여기에 미국 배들만 있는건지 일본 자위대도 같이 쓰는 곳인지 모르겠네요.
마지막으로 핵추진 잠수함들이 배치되어 있는 괌 기지를 한번 볼까요.
여기 잠수함이 정박해있는 모습이 보이네요.
지금까지 전 세계에 흩어져있는
천조국, 미국의 함대들을 한번 살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미국 사막 한가운데 숨겨진 캘리브레이션타겟, 위성보정패턴들
지난 포스팅에서 위성 카메라의 분해능 측정과 보정을 위한 5:1 종횡비 트라이바 배열의 캘리브레이션 타겟을 소개해드렸는데요! 애드워즈 공군기지 외에 다른 곳에 있는 위성보정 패턴도 한번
geotv.tistory.com
인류 우주탐험 역사의 시작, 케네디우주센터
오늘 찾아볼 곳은 미국의 케네디 우주센터입니다. 플로리다에 위치해 있고요. 바로 우주왕복선, 우주선을 발사하는 곳이죠. 영화 같은데서도 많이 나왔고, 뉴스에도 많이 나왔죠. 우주선 발사하
geotv.tistory.com
참고자료)
나무위키 : 미국해군, 제1~7함대
위키백과 : 노퍽해군기지, 제1~7함대(미국)
'위성에서 본 지구🌏 > 북미-중남미 ▦ AMERIC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나마운하의 역사 (0) | 2025.02.28 |
---|---|
세계의 월경지 : 본진과 떨어진 멀티영토 (0) | 2025.01.15 |
미국과 멕시코의 국경, 3,145Km (4) | 2024.12.11 |
세계에서 가장 깊은 구덩이 : 빙엄구리광산 (1) | 2024.11.25 |
미국과 러시아의 국경지대 (7)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