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탐험 지오티비

다른 나라 영토에 둘러싸인 나라들 본문

위성에서 본 지구🌏/유럽 ▦ EUROPE

다른 나라 영토에 둘러싸인 나라들

클로저 2024. 12. 26. 08:31
반응형

 

 

오늘은 나라안의 나라들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해 볼까 하는데요.

나라안의 나라가 무슨 말이냐.

말 그대로 입니다. 한 나라가 다른 나라의 영토 안에 쏙 들어가 있는

그런 나라들이 있다는 말인데요.

언뜻 감이 잘 안오시나요? 같이 한번 보시죠~

 

 

*바티칸(이탈리아)

 

우선 대표적으로 바티칸시국이 있습니다.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바티칸은

로마 여행가면 빼놓을 수 없는 곳이죠~

바티칸시국은 이탈리아 로마시내에 위치해 있는 도시국가인데요

총 면적이 0.44km2에 불과해 세계에서 가장 작은 나라입니다.

대략적으로 여의도 면적의 약 6분의 1 정도라서 한양대 서울캠퍼스 정도 크기라고 해요.

인구는 22년 8월 기준 594명 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 중에서 실제 바티칸 내에서 거주하는 인구는 223명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바티칸의 역사에 대해 짧게만 말씀드리자면

예전에는 로마를 중심으로 이탈리아반도 중부 지역까지

교황령이 넓게 차지를 하고 있었는데요.

1870년 이후에 이탈리아 왕국에 강제 합병되어서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고 합니다.

 

면적이나 인구는 세계에서 가장 작을지 몰라도

전 세계 로마 가톨릭교회의 총 본산으로서

바티칸의 의미는 일반 국가와는 다른 곳이지요.

 

주 교황청 대한민국 대사관도 있습니다.

하나의 국가로 인정받고 있다는 뜻이겠죠.

 

 

 

 

*산마리노(이탈리아)

 

이탈리아에는 이런 곳이 또 있는데요.

바로 산마리노 공화국입니다.

바티칸은 많이들 아시겠지만

산마리노에 대해서는 잘 몰랐던 분도 계실 것 같은데요.

 

산마리노는 이탈리아 중부 피렌체 인근에 있는 국가입니다.

면적은 약 60제곱 키로미터고요. 세계에서 5번째로 작은 나라래요.

우리나라 안양시 정도의 크기라고 합니다.

인구는 약 3만 4천명 정도 되는데요

언어는 이탈리아어를 사용하고요, 내각책임제 국가인데

1인당 GDP가 약 4만5천불 정도 되네요.

 

 

 

산마리노는 DC 301년에 성 마리누스가

로마 제국 황제의 기독교 박해를 피해서 기독교 신앙 공동체를 만들었고

그것이 나중에 발전하여 현재의 산마리노가 되었다고 합니다.

1815년 빈 회의에서 독립 국가로 유럽 국가들의 승인을 받았다고 해요.

1992년에는 유엔에도 가입하였다고 해요.

엄연한 하나의 국가로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고 있다는 거죠.

 

 

 

하지만 유럽연합 회원국은 아니라고 하는데요.

그러면 산마리노에 입국하려면 여권이 필요한건가? 모르겠네요.

국토에서 가장 긴 폭이 13Km 정도 되고요,

산마리노 강이 영토를 가로지르고 있습니다.

 

 

 

산마리노와 연결된 철도는 없고요

인근 도시인 리미니에서 버스로 들어가야 된다고 해요.

연간 300만명의 관광객이 찾고 있어서요

관광수입이 국가경제의 50%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레소토(남아공)

 

다음으로 알아볼 나라는 레소토입니다.

레소토는 남아공 국토로 둘러싸여있는 왕국인데요.

면적이 우리나라의 30% 정도 된다고 해요.

인구는 약 250만명 정도 됩니다.

레소토라는 국명은 소토어로 '소토족의 나라'라는 뜻이라네요.

수도는 마세루로 국토의 북서쪽 국경에 붙어 있습니다.

 

 

 

레소토는 국토 대부분이 산악지대인데요.

전체 국토가 해발 1천미터 이상인 유일한 나라라고 합니다.

가장 낮은 곳이 해발 1400미터 정도고,

국토의 80% 이상이 해발 1800미터 이상이라고 해요.

 

 

 

때문에 일년내내 다른 지역에 비해 기후가 서늘한 편인데요

일부 고지대에서는 겨울철에 영하 18도까지 떨어진다고 합니다.

목축업이 주요 산업으로 최근에는 의류수출도 많이 하고 있다고 하고요

다이아몬드도 많이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도자기와 유리조각품도 유명하다고 하네요.

 

 

 

*위요지

 

이렇게 국토 전체가 다른 하나의 나라에 섬처럼

완전히 둘러싸여 있는 형태를 위요지라고 하는데요.

둘러싼 땅이라는 뜻이죠.

이런 위요지 국가는 지금까지 알아본 바티칸과 산마리노

그리고 레소토 세 군데 밖에 없고요.

특히 이 중에서도 국경검문소가 있는 나라는 레소토가 유일하다고 해요.

아무래도 레소토는 나라 사이즈가 좀 있다보니까 그런가봐요.

 

 

 

 

*오만 나흐와 월경지

 

이런 위요지 국가가 있는 반면에 월경지라는 개념도 있는데요.

본국은 따로 있으면서 국토의 일부가 본토와는 떨어져서

다른 나라나 행정구역에 둘러싸여 있는 그런 곳입니다.

 

 

 

 

 

대표적으로 아랍에미레이트 안에 있는 오만의 영토, 마드하라는 곳이 있습니다.

과거 이 지역에 아랍에미리트 연합이 세워지면서

인근 부족들은 모두 UAE를 따르기로 했는데요.

마드하 주민들은 오만을 따르기로 하면서 이런 국경이 생기게 되었다고 해요.

 

 

 

이 마드하는 특이한게 그 안에 다시 UAE의 영토인 나흐와가 있어요.

그래서 땅 모양이 마치 도넛처럼 UAE에 둘러싸인 오만의 영토입니다.

마드하의 북쪽에도 오만의 영토가 있는데요.

바로 무산담 반도입니다. 이 무산담 반도도 오만의 영토였네요.

페르시아만의 입구 호르무즈 해협을 지키는 중요한 위치인데

여기를 오만이 차지하고 있는 것도 몰랐던 사실이네요.

 

 

 

*우즈베키스탄과 타지키스탄의 키르기스스탄 월경지

 

천산산맥 아래, 페르가나 계곡 일대에 자리잡고 있는

우즈베키스탄과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은

소련이 해체되면서 만들어진 나라들인데요.

이 세나라 국경이 얽히고 섥힌 것이 아주 복잡합니다.

한번 살펴볼까요.

 

 

 

이들 나라는 농업이 나라의 주요 산업인데요.

그러다 보니 물이 중요하잖아요.

그래서 이들 세나라의 국경지대에서는 수자원 문제로 인해

세 나라간의 갈등이 심한 상황입니다.

 

기본적으로 우즈베크인은 도시지역에서 관개농업을 주로 하고요

키르기스인은 그 주변부에서 유목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또 타지크인은 반농반목 생활을 주로 한다고 하는데요.

 

 

 

소련이 해체되면서 나라를 나누다 보니까

이 민족의 생활반경과 나라간 경계의 불일치가 생긴겁니다.

그래서 키르기스탄 안에 소흐나 샤히마르단, 잔가일, 총카라 등

4군데 지역에서 섬처럼 우즈베키스탄의 월경지가 생기게 되었고요.

 

보루흐, 서 카라차 등 두개의 타지키스탄 월경지도

키르기스스탄 내에 생기게 됩니다.

키르기스스탄으로서는 국경문제가 상당히 골치아프게 된거죠.

 

 

 

 

또 우즈베키스탄 내 사르반는 타지키스탄 월경지가 있고요.

키르기스스탄만 월경지가 없네요.

이렇게 국경이 얽히고 섥히다 보니까 충돌도 잦아서요

유혈사태가 벌어진 적도 있고 난민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지역처럼 칼로 자른 듯한 국경도 문제가 되지만

이렇게 민족을 고려해서 국경을 나누는 것도 문제가 없는 건 아니네요

뭐가 더 좋은지는 고민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런 월경지에 사는 국민들은 본토와 고립된 탓에

제대로 사회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해요

우즈의 경우 월경지 부흥정책으로

토지세와 재산세를 면제하고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의

다양한 지원정책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참고자료)

위키백과 : 바티칸 시국, 산마리노, 레소토

나무위키 : 바티칸, 산마리노, 레소토

외교부 : 바티칸, 산마리노, 레소토

네이버블로그 : 해븐하선 https://blog.naver.com/k9897/222266135700

나찰의 지도공방 https://blog.naver.com/nachalblog/223348146613

 

 

⛱️위성에서 본 이탈리아 RIMINI 해변의 놀라운 모습!⛱️

안녕하세요~ 탐험가 여러분 🌎 오늘은 함께 이탈리아로 가보아요 🇮🇹 오늘 가볼 곳은 이탈리아 북부의 도시 동부연안 아드리아해를 접하고 있는 리미니라는 도시입니다! 리미니는 이탈리아

geotv.tistory.com

 

 

북한군이 파병된 러우전쟁 전선 위치

최근 북한이 우크라이나전에 군인들을 파병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우리 국민들은 물론이고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오늘은 북한이 어떤 루트로 군인과 무기들을 우크라이나로 보

geotv.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