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탐험 지오티비
중국 해안의 원자력발전소에서 핵물질이 유출된다면? 본문
오늘은 중국의 해안지대에 있는
원자력발전소들을 살펴보려고 하는데요.
중국은 현재 총 49기의 원자로를 운영하고 있고,
11기를 추가로 건설 중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중에서 한반도 서해에 면한
중국 동해안 4곳의 원전에서만
무려 13기의 원자로를 운용하고 있고,
또 3기를 추가로 건설 중이라고 해요.
여기에서 뭔가 사고가 일어나면
편서풍을 타고 우리나라에 직격탄을 날리게 되는건데요.
또 중국 동해안의 원전에서 폐수를 방류하게 되면
3~4일 안에 우리 서해안에 도달한다고 합니다.
그럼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원전들을 한번 살펴볼까요.
홍옌허원전(Hongyanhe Nuclear Power Plant)
먼저 홍옌허 원자력발전소입니다.
홍옌허 원자력발전소는 중국 동북지방 최대 규모의 원전입니다.
100만㎾급 4대의 1기 원자력발전소 건설 이후, 2010년에는
100만㎾급 원자력 발전기 2개를 건설하는 2기 발전소 건설이 시작되었습니다.
2기 발전소까지 완공되면 연간 총 450억㎾의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고 합니다.
중국이 원천 기술을 보유한 개진형 가압수형 방식을 채택해서
원자력 발전소 건설의 국산화를 실현했다고 자랑하는 발전소인데요.
원자로가 어떤 방식이 어떻고 이런 기술적인 문제는 잘 모르겠지만요
아무튼 중국이 원전기술에 있어서도 이제 세계적인 수준에 다다른 것 같습니다.
2020년 기준 중국의 원자력발전소 운전현황을 보면요.
중국은 16개 원자력발전소에서 49기의 원전을 운영중이고요.
총 발전용량은 51,027.16㎿e입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현재 건설 중인 원전을 포함하여
광둥성이 총 16기로 가장 많은 원전을 운영하고 있고요.
푸젠성 12기, 저장성 11기, 랴오닝과 장쑤성이 각각 6기, 산둥 5기 순입니다.
2020년 중국의 발전량은 74,170.1억 ㎾h인데요.
이 중 원전 가동 발전량은 3,662.43억 ㎾h로
전체 발전량의 4.9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화력은 71.18%, 수력 16.37%, 풍력 5.59%,
태양광 발전이 1.92% 를 차지하고 있네요.
국가별로 보면 전체 발전량 중에서
원자력 발전량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이 프랑스입니다.
프랑스가 70.6%로 가장 높고, 슬로바키아와 우크라이나가 53.9%,
헝가리 49.2%, 벨기에 47.6% 순인데요.
우리나라의 원자력 발전량 비중은 26.2%로
29개 국가 중 12번째로 높은 편이고, 중국은 24번째 입니다.
시다오만 원자력 발전소(Shidao Bay Nuclear Power Plant)
다음으로 알아볼 곳은 시다오만 원자력 발전소입니다.
우리나라와 가까운 산둥반도에 있는 시다오만 원전은
인천까지 직선거리로 348km에 불과한 곳입니다.
이 발전소는 세계 최초의 4세대 원자로라는
고온가스로(HTR-PM)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냉각수를 쓰지 않고 불활성 헬륨 가스로 냉각을 한다고 합니다.
2023년 12월에 상업운전을 시작했는데요.
중국이 원전굴기를 내세우며 시작한 원자력 중장기 발전계획을 하나로
20년짜리 대형 원자력프로젝트 입니다.
모두 완공되면 이런 고온가스로가 총 10개가 설치된다고 합니다.
세계의 원자력발전소 현황을 보면요
2021년 3월 기준 세계에서 운전 중인 원자력발전소는
32개국 총 444기로 설비 용량은 394,098㎿e입니다.
국가별 원전 수는 미국이 94기로 가장 많고요.
프랑스가 56기, 중국이 50기, 러시아 38기, 일본 33기고요.
한국 24기, 인도 23기 순으로 원전을 보유중입니다.
그리고 계획 중인 원전은 세계적으로 59기인데
이중 중국 23기로 압도적으로 많은 상황입니다.
하이양 원자력 발전소(Haiyang Nuclear Power Plant)
다음으로 찾아가 볼 곳은 하이양 원자력 발전소입니다.
중국 산둥성 하이양에 있는 이 원자력 발전소는요
현재 원자로 2기가 건설되어 있는 모습이 보이고요.
두 기 모두 9년 정도 공사와 시험가동 기간을 거쳐서
하이양 1호기는 2018년, 2호기는 2019년에 가동을 시작했습니다.
원전기지마다 대부분 신규원전을 추가로 건설하고 있는 모습인데요.
하이양 원전은 8호기까지 계획이 되어있다고 해요.
모두 AP1000이라는 웨스팅하우스의 원자로를 사용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여기는 좀 특이한게. 이 원자력 발전소에서 나오는 열로
인근의 하이양시 전체에 난방을 공급하고 있다고 해요.
이로 인해 매년 18만톤의 이산화탄소 절감효과가 있다고 하네요.
난방을 위한 석탄발전소 12개를 대체하면서
20만 가구에 난방을 공급하는 효자 노릇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이양 원전을 보면 원전 배출수가 나오는 수로가 확인이 되거든요.
이 수로에서 그냥 따뜻한 물만 나올 수도 있지만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Tritium) 같은 물질들이 포함된
그런 폐수를 방출할 가능성도 있는 거거든요.
전 세계 원전의 삼중수소 배출량
언론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원전에서 방류되는 삼중수소(Tritium) 배출량이
후쿠시마 원전에서 배출되는 것의 약 50배에 달한다는 보도가 있어요.
그런데 뭐 사실 확인이 안되죠.
중국이 이런 자료를 명확하게 밝히는 나라도 아니고
언론 취재가 자유로운 나라도 아니니까요.
그래서 좀 문제인 것 같아요.
우리랑 서해를 공유하고 있으니까요.
여기서 배출되는 물질들이 우리에게 직접 영향을 주게 되는겁니다.
중국이 2021년에 발간한 중국핵능연감을 토대로 추정한
중국 전체 원전에서 2020년에 배출한 삼중수소 총량이
대략 1054테라베크렐(T㏃) 이라고 합니다.
일본 후쿠시마원전이 오염수를 배출하고 있는게
연간 약 22T㏃ 이거든요. 그러니까 약 50배가 되는거죠.
후쿠시마 뿐만 아니라 일본 전체 원전에서
연간 약 175T㏃의 삼중수소를 배출한다고 합니다.
미국은 2019년 기준 연간 1714T㏃ 캐나다는 2020년 기준 1831T㏃의 삼중수소를 배출하고
있고요.
중국이 빠른 속도로 원전 숫자를 늘리고 있으니까
배출하는 삼중수소의 양도 점점 더 늘어나겠죠~
문제는 중국에 짓고 있는 원전 부지들이 우리나라와 가까운
랴오닝성, 산둥성 등 중국 동부 연안에 몰려 있다는 거겠죠.
그럴 수 밖에 없는게 원전 냉각을 위해서 냉각수가 필요하니까요.
해안지역에 위치할 수 밖에 없는 부분이 있겠고요.
또 편서풍 지역에서 인구 밀집지역의 서쪽에 원전을 짓는 것은
중국 입장에서도 리스크가 있으니까요.
서해 연안에 원전들을 지을 수 밖에 없었을 겁니다.
아무튼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끔찍한 사고는
절대로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되겠지만요.
만약 사고가 일어난다면 중국보다도
우리나라가 아주 직격탄을 맞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겁니다.
텐완(田湾) 원자력 발전소
마지막으로 살펴볼 곳은 장쑤성의 텐완 원자력 발전소입니다.
중국과 러시아 합작으로 건설된 톈완 원전은
2021년에 4번의 사고가 연속으로 발생했던 곳 입니다.
당시 중국 측 설명으로는 가벼운 사고였으며,
방사능 누출 등 심각한 상황은 없었다고 했는데요.
텐완 원전은 전라남도 목포와 비슷한 위도에 있는데요.
여기서 사고가 나면 우리나라가 직격탄을 맞게 되는 그런 위치입니다.
여기서 오염수를 배출하게 되면 3~4일 정도면
우리나라 연안에 도착할 거라고 하네요.
톈완 원전은 현재 6기가 가동중이고 4기가 추가 건설 중입니다.
1986년 체르노빌 원전 폭발 당시에 낙진의 범위가 약 2400㎞였다고 하거든요.
2400Km면 중국해안에 있는 모든 원전이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이고
일본까지 피해범위 안에 들어오게 되는데요
바람의 영향이나 거리나 이런 것들을 고려해 봤을 때
우리나라가 특히 피해정도가 심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런데 참 어려운 문제인 것 같아요.
물론 사고는 없어야겠지만 언제 어떻게 일어날지 모르는 문제니까요.
중국의 원자력 발전을 우리가 막을 수도 없는 문제고요.
중국에서 만약 원전사고가 일어났을 때 우리는 어떻게 대응을 해야할지
또 피해예방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양국 모두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 봐야할 것 같습니다.
참고자료)
jeonsh60님의블로그 https://blog.naver.com/jeonsh60/223155679112
매일경제 : 中원전이 배출하는 삼중수소, 후쿠시마 50배...23기 추가 건설
인천연구원 : 중국 원자력발전소 운전 현황
중앙일보 : 강화도서 불과 400km···韓서해 맞은편에 中원전 12개 있다
후쿠시마원전 오염수방류 1년, 위성으로 본 후쿠시마
안녕하세요😄 지오티비입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경과 오늘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멜트다운이 된 일본 후쿠시마 원전을 한번 찾아가보도록 하겠습니다.작년 8월 24일부터 오염수
geotv.tistory.com
북한 영변핵시설과 태천원전
지난 포스팅에서는 KEDO 경수로 지원사업으로 건설된 함경남도의 신포 원자력 발전소를 찾아가 보았는데요. 오늘은 북한에 또 어떤 원전이 있는지, 있기는 한건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eotv.tistory.com
'위성에서 본 지구🌏 > 아시아 ▦ AS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서해상 인공구조물 무단설치 (0) | 2025.02.09 |
---|---|
철로를 따라가며 본 하얼빈 속 중국지명들 (0) | 2025.01.19 |
한국산 개표기로 부정선거?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4) | 2024.12.25 |
신장위구르 타클라마칸사막 중국 지하 핵실험기지[2] (6) | 2024.10.12 |
신장위구르 타클라마칸사막 중국 지하 핵실험기지 (4) | 2024.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