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탐험 지오티비
🧭 한일 해저터널, 과연 누구를 위한 연결일까? 본문
– 부산항의 미래, 철도 궤도 문제까지 총정리
오늘은 전 국민이 한 번쯤은 들어봤을 한일 해저터널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구글어스를 활용해 살펴보면 더욱 실감 나는, 부산에서 일본 규슈까지 바닷속으로 연결된 터널.
“이게 정말 가능할까?”라는 궁금증에서 시작된 이 논의는, 이제 단순한 상상이 아닌 정치, 경제, 군사, 물류까지 복합적인 문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 1. 해저터널이 지나가는 예상 경로는?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루트는 부산-쓰시마(대마도)-이키섬-가라쓰(일본 규슈)입니다.
직선거리로는 약 200km에 달하며, 해저구간만 약 128km.
세계에서 가장 긴 해저터널이 될 수도 있는 이 구간은 지리적으론 매력적이지만, 지질 구조와 해류 문제로 시공 난이도가 높습니다.
게다가 공사기간만 최소 20년 이상, 예상 비용은 100조 원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2. 해저터널, 경제성이 있을까?
한일 해저터널에 대한 찬성론자들은 이렇게 주장합니다.
“동북아 물류 허브 구축, 한·일 관광객 증대, 유럽까지 이어지는 철도망 구축!”
하지만, KDI(한국개발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수익을 내려면 연간 2000만 명 이상이 이용해야 합니다.
지금 한국과 일본 간 여객 수요나 화물 물동량을 고려하면…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게다가 항공편이 빠르고 저렴한 현실에서, 일부러 3~4시간 걸리는 터널 열차를 탈 이유가 있을까요?
🚢 3. 부산항의 운명, 어떻게 될까?
이 주제는 부산 시민들이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부분이죠.
현재 부산항은 동북아시아 최대의 환적항만으로서, 일본·중국·러시아를 연결하는 핵심 거점입니다.
하지만 터널이 뚫리면 일본 화물은 부산항을 거치지 않고 바로 중국·유럽으로 육로 이동할 수 있게 됩니다.
즉, 부산항의 물류 역할이 축소되거나, 부산 자체가 거점에서 ‘통과지점’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존재합니다.
🧩 4. 철도 궤간, 그대로 달릴 수 있을까?
기차 바퀴 간격이 다른 건 알고 계셨나요?
- 한국은 표준궤(1,435mm)
- 일본은 협궤(1,067mm)
결과적으로 KTX는 일본에 못 가고, 일본 기차는 한국에 못 옵니다 😅
궤간 가변형 차량을 도입하든, 중간 정거장에서 환승을 시키든… 둘 다 현실성이 낮고, 비용도 큽니다.
‘터널은 연결됐지만 열차는 다르다’는 웃픈 현실이 벌어질 수도 있다는 거죠.
⚔️ 5. 안보는 정말 괜찮을까?
유사시 적국의 이동 경로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해저터널은 국방 및 안보적 민감성을 동반합니다.
게다가 일본과의 외교 갈등, 역사 문제 등 정치적 리스크가 있는 상황에서
“상시 개방되는 육로”는 우리에게 불리한 협상 지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큽니다.
🙅♂️ 6. 그렇다면 대안은?
- 부산~후쿠오카 고속 페리 확충
- 김해공항과 향후 가덕도 신공항의 직항 강화
- 부산항을 스마트물류 거점으로 재정비
이처럼 기존 인프라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식이 훨씬 현실적이라는 의견도 많습니다.
🧠 7. 정리하자면...
한일 해저터널은
✅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 경제성은 불확실하고
❌ 국익 측면에서도 손해 가능성
❌ 부산항 경쟁력 저하 우려
❌ 철도 호환성 문제
❌ 안보 리스크 존재
그래서 전문가들은 대부분,
“지금은 추진할 타이밍이 아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죠.
🗺️ 결론
한일 해저터널, 정말 꿈의 프로젝트일까요?
아니면 일본이 웃고, 부산이 울게 될 미래일까요?
우리가 선택하지 않아도 시간이 답을 줄 것입니다.
지금은 그 가능성과 현실을, 구글어스를 통해 함께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겠죠?
더 많은 지리 콘텐츠로 다시 만나요! 👋
일본유심 공항보다는 여기서 사는게 유리함
설레는 여행 준비에 빠질 수 없는 게 바로현지에서 사용할 유심이자나~📲오늘은 럭키네가 이번에 사용한일본유심에 대해 소개해줄게! 일단 eSIM과 실물심을 둘다 사서 썼는데실물심은 쿠
geotv.tistory.com
JR나라선 이나리역 인근 일본스러웠던 철도건널목
교토의 후사미이나리 신사에 다녀오는 길, 굉장히 일본스러운 철도건널목을 하나 만났네요. 때마침 열차가 지나가 신사를 찾은 많은 사람들의 발걸음을 멈춰세웠습니다. JR서일본의 나라선 열
geotv.tistory.com
'위성에서 본 지구🌏 > 아시아 ▦ AS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해안의 원자력발전소에서 핵물질이 유출된다면? (1) | 2025.03.18 |
---|---|
중국의 서해상 인공구조물 무단설치 (0) | 2025.02.09 |
철로를 따라가며 본 하얼빈 속 중국지명들 (0) | 2025.01.19 |
한국산 개표기로 부정선거?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4) | 2024.12.25 |
신장위구르 타클라마칸사막 중국 지하 핵실험기지[2] (6) | 2024.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