럭키네와 지구탐험 지오티비
북한수공과 이를 막기위한 댐들 : 황강댐과 군남댐 본문
지오티비입니다
오늘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북한의 댐들,
우리나라에 수공을 할 수 있는 북한의 댐들에 대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북한 임진강 황강댐
먼저 임진강 유역에 있는 황강댐입니다.
황강댐은 임진강 비무장지대(DMZ)에서 북쪽으로 27km 지점에 위치한
저수량 3억 5천만톤 가량의 댐인데요
2002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07년에 준공되었다고 합니다.
우리 환경부에 따르면, 북한이 올해 7월 9일 화요일 아침에
우리쪽에 사전 통보도 없이 이 황강댐의 물을 방류했다고 하는데요.
북한이 이렇게 예고없이 방류를 하면 우리쪽에서 큰 피해를 입게 됩니다.
2009년 9월에 북한이 황강댐에서 무단방류를 해서
야영을 하던 우리 국민 6명이 숨지고, 차량 21대가 침수되는 일이 벌어진 바가 있거든요
이 사건 이후 같은 해 10월에 열린 임진강 수해방지 실무회담에서
북한은 황강댐 방류 시 우리쪽에 사전에 통보하기로 합의를 했습니다.
하지만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북한은 이 합의를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고
이번에도 사전통보없이 방류를 한거죠.
이명박 정부시절인 2012년 8월에도 북한이 통보도 없이 황강댐에서 무단 방류를 하여
2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적이 있습니다.
특히 장마철에 북한 쪽에도 집중호우가 내리면 이렇게 무단방류를 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고 하는데요.
북한이 황강댐에서 물을 방류하면, 우리측 임진강 최북단인 필승교에 도달하는 데
약 9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븍한이 사전에 통보만 해준다면 9시간동안 충분히 대피명령을 내릴 수 있다는 뜻이죠.
반면 북한은 임진강 황강댐의 물을 예성강쪽으로 유역변경하여 수력발전에 이용하고 있기도 하거든요.
북한이 이쪽으로 물길을 돌리면 겨울철이나 봄철 유량이 부족할 때는
우리 임진강 유역에 수량이 부족해 물부족 현상이 일어나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모로 강 상류에 위치한게 갑인 상황이네요.
* 남한 임진강 군남댐
북한 황강댐에서 방류한 물이 우리 지역에 도착하는데는 8~9시간이 걸리지만
우리가 이를 최초로 확인할 수 있는건 우리 쪽 필승교에 도달한 시점에서야 방류사실 확인이 가능하거든요.
요즘은 하루 두차례 위성으로 북측 임진강 유역의 변화를 확인하고 있다고는 하지만요
위성으로 확인이 불가능할 때도 있기 때문에 북한의 기습방류에 취약점이 있을 수 밖에 없는데요.
그래서 황강댐 무단방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우리는 군남댐을 만들었습니다.
저수량 7,100만톤의 군남댐은 2007년에 착공하여, 2010년 6월에 준공이 되었는데요.
우리나라 최초의 홍수조절 전용 단일목적댐입니다.
한탄강과 임진강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임진강 상류를 향해 북쪽으로 12km지점에 위치한 군남댐은
콘크리트로 건설되었으며 높이는 26m이며 길이는 658m입니다.
그런데 황강댐의 총저수량은 3억5000만t으로 군남댐의 7160만t보다 5배 크거든요.
황강댐과 군남댐의 거리는 56km에 불과해서 황강댐에서 기습적으로 초당 500t의 물을 내보낼 경우,
우리가 이 방류를 인지할 수 있는 군사분계선으로부터 군남댐까지는 불과 30분 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북한이 황강댐으로 수공을 시도하면 최전선에서 방어하는 댐이긴 하지만,
군남댐 용량의 한계로 인해 우리 측 임진강 하류 어민들의 어구가 손실되는 등 일정 부분 피해는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그럼 이 군남댐의 규모를 키우면 되지 않느냐 이야기 하실 수 있겠는데요.
만약 그렇게 만들면 우리쪽 영토는 물론이고, 북한 지역에 수몰되는 지역이 늘어난다고 해요.
그래서 북한을 자극하지 않고자 노무현정권에서 현재의 규모로 제한하였다는 주장이 있기도 합니다.
'위성에서 본 지구🌏 > 한반도 ▦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의 고속도로 현황 (2) | 2024.09.13 |
---|---|
수공을 위한 북한 임남댐과 이를 방어하는 평화의댐 (0) | 2024.08.18 |
북한 영변핵시설과 태천원전 (0) | 2024.07.19 |
KEDO 북한 경수로 지원사업 : 신포원전 (0) | 2024.07.18 |
백령도보다 더 남쪽에 위치한 북한 공기부양정부대 (0) | 2024.07.16 |